왜 우리 직원들은 회의 때마다 꿀 먹은 벙어리가 될까요? 게다가 아이디어를 내더라도 기대에 못 미치는 경우가 많습니다. 우리 직원들이 참신한 아이디어를 술술 쏟아내게 하는 방법 없을까요?
회의에 아이디어 하나가 올라왔습니다. 그러자 사람들은 일단 그 약점을 잡고 물어 뜯기 바쁩니다. 이래서 안되고 저래서 안 된다면서요. 그런데 픽사(Pixar)는 다릅니다. 이들은 아이디어에 뼈와 살을 붙여 더 키워나간다는데요. 이게 무슨 말일까요?
여러분도 혁신을 이끄는 CEO가 되고 싶으신가요? 세계적인 기업의 창업스토리에서 그 힌트를 찾아보세요!
전 직원들에게 한 달 동안 휴가를 준 회사가 있습니다. 이 회사, 과연 제대로 굴러갈까요?
“지금 여러분이 뭔가 ‘미친 짓’을 하고 있지 않다면, 잘못된 일을 하고 있는 것이다” 구글의 창업자 래리 페이지가 한 말입니다. 엄청 복잡하고 어지러운 비즈니스 세계, 가능한 한 논리적으로 판단하고 행동해도 모자랄 판에 ‘미친 짓’을 하라니 대체 이게 무슨 말일까요?
다들 좋다고 말하는 경영 기법, 왜 우리 회사에서는 잘 안될까요? 그 기법이 우리 회사의 조직 문화와 잘 안 맞기 때문입니다. 우리 회사에 꼭 맞는 경영 기법을 고르는 비법을 알아봅니다.
창조적 조직을 만들고 싶긴 한데, CEO도 임직원들도 특별히 창조적이지 않은 것 같아서 고민이신가요? 창조의 아이콘인 스티브 잡스에 따르면, 창조는 특별한 사람들만 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고 합니다. ‘연결하기’만 잘 해도 엄청난 창조를 할 수 있다고 하는데요, 그게 무슨 말일까요?
기업들이 자주 사용하는 경영기법 중 하나로 꼽히는 벤치마킹. 한국전쟁 이후 우리나라 기업들은 저마다 해외 선진기업의 기술과 경영 방식을 배워 눈부신 성장을 이뤘습니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지금까지 한국 경제 성장을 견인한 벤치마킹이 한계에 다다랐다고 말하는데요. 이런 상황을 두고 경영학자 톰 피터스는 “이제 벤치마킹의 시대는 가고 퓨처마킹의 시대가 왔다”고 말했습니다. 퓨처마킹이란 무엇이고 어떻게 실천해야 할까요?
여러분은 주로 어떤 스타일로 회의를 이끄시나요? 직원들에게 최대한 발언권을 주면서 주로 듣기만 하는 편인가요, 아니면 주도적으로 나서서 회의를 이끄는 편인가요? 어느 쪽이 더 낫다고 할 수는 없습니다. 하지만 회의의 성격에 따라 카멜레온처럼 변신할 필요는 있는데요. 이게 무슨 말일까요?
100,000 원
150,000 원
아이디어리더십창조분위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