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맥경화’에 빠질 위험 없는 건강한 기업 만드는 방법, 어디 없을까요?
대박을 기대하며 과감하게 투자했던 신제품. 그런데 막상 출시하니 돈을 벌어다 주기는커녕, 돈 잡아 먹는 귀신인데요. 대체 어디서부터 잘못된 걸까요?
어떤 기업이 인수할 만한가 아닌가 재무상태를 챙겨보고 싶은데 엄두가 안 난다고요? 물론 정말로 M&A를 하려 한다면 회계법인을 고용해 재무 실사를 하셔야 할 텐데요. 그런데 전문가들의 손에 맡기기 전에 리더인 내가 대충이라도 가늠해 볼 수 있는 손쉬운 방법이 있다면 좋겠다고요? 여기 딱 3가지만 챙겨보세요!
혹시 계절상품을 만들고 계세요? 비수기에는 장사가 안되 적자가 나는데도 영업을 계속 해야 할까요? 이 판단의 기준을 알려드립니다.
신규 사업 시작하시면 많이 떨리시죠? 도대체 어느정도 제품이 팔려야 성공했다고 볼 수 있을지, 막연하게 짐작만 하고 있진 않으신가요? 손익분기점을 넘기는 판매량이 어느정도인지 정확하게 계산할 수 있다면 좋으시겠죠? 바로 그 계산법을 알려드립니다.
기업 내 복잡성 때문에 제품 원가보다 10~25%정도 더 비용이 발생한다고 합니다. 이 복잡성 어떻게 없앨 수 있을까요?
납품업체가 너무 힘이 세서 상대하기 힘드신가요? 경쟁업체보다 더 높은 가격을 제시해보고, 구매 수량도 늘려봤지만 결국은 원가에 부담이 되고, 재고만 쌓여가는 상황에 처하셨다고요? 이 상황을 한 방에 해결할 수 있는 비법이 여기 있습니다.
회사 사정이 어려워지면, 보통 직원들 허리띠부터 졸라 매게 하는데요. 이렇게 하기 전에 먼저 줄여야할 것이 있습니다. 바로 Bad cost. 대체 이걸 어떻게 찾아 줄이라는 걸까요?
품질관리부서도 없는 도요타가 불량률 ZERO를 자랑하는 비결은 바로 그들이 만든 ‘린 생산방식’ 덕분인데요. 그런데 이게 그저 자동차 회사에만 통하는 건 아니라고 합니다. 도요타의 린 생산방식이 전혀 다른 업종을 만나 생긴 어마어마한 일, 함께 보시죠!
제품이 고객에게 닿기까지 거쳐야 할 단계가 참 많죠? 원료공급사부터 제조사, 유통사 등등... 그런데 이 단계를 거치다 보면 수요가 실제보다 부풀려지는 경향이 있다고 합니다!
100,000 원
150,000 원
이 강의는 '대 불황의 시대, 리더의 전략적 사고가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하다!'입니다.회계, 원가 그리고 SCM의 기본을 잡는 마이크로 러닝 패키지로 핵심 내용을 배우고, 실천해보세요!
불황리더숫자회계원가회계원가관리SCM재무신제품손익분기점비용납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