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능하다고 평가받은 직원이 올라가는 자리, 임원. 하지만 막상 임원이 되고 나면 자신의 능력을 제대로 발휘하지 못할 때가 많은데요. 그 핵심은 역할전환에 있습니다. 신임 임원이 알아야 할 첫 번째 역량에 대해 알아보세요!
여러분의 회사에선 주로 어떤 식으로 임원을 뽑으시나요? 성과관리, 사람관리 등 다양한 역량을 본 뒤 평균점수가 가장 높은 사람을 뽑을 가능성이 높은데요. 그런데 이런 식으로 하다가는 수중전을 치러야 하는데 공중전에 능한 사람을 잘못 앉혀놓는 꼴이 생길 수 있다고 합니다. 대체 이게 무슨 말일까요?
리더의 성공을 예측하는 데 중요한 요소로 손꼽히는 역량, ‘메타인지’. 지속적으로 성과를 내는 리더들의 공통점은 높은 메타인지를 갖고 있다는 건데요. 대체 메타인지가 왜 중요할까요? 조직에서 메타인지가 발휘되면 어떤 효과가 일어날까요? 그렇다면 우리는 어떻게 메타인지를 높일 수 있을까요? 딱 3가지만 기억하고 반복해 보시기 바랍니다!
한 연구결과에 따르면 조직 내 신뢰가 강할수록 업무속도는 빨라지고, 비용은 떨어진다고 하죠. ‘직원들에게 신뢰받는 리더로 거듭나고 싶은 분’들께 이 비즈킷을 추천합니다.
리더는 비전을 내세워 조직의 변화를 이끌려고 합니다. 하지만 직원들 입장에서는 그 비전이 너무 멀게만 느껴지는데요. 왜 그런 걸까요?
느닷없이 기업 평판에 위기가 닥치면, 허둥지둥하다가 엉망으로 망치기 십상이죠. 이제 위기도 창조적으로 극복하는 시대라고 하는데요. 창조적 아이디어로 위기를 기회로 바꾼 팀버랜드와 존슨앤존슨의 이야기를 소개해드립니다.
회사에 이익이 되는 결정만 내릴 수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요? 실수를 줄이고 제대로 된 의사결정을 하고 싶은 분들께 이 비즈킷을 추천합니다.
글로벌 기업 나이키 하면 ‘Just do it’ 이란 슬로건이 떠오르죠? 이는 창업자인 필 나이트 회장이 줄곧 강조해 온 정신이기도 한데요. 실제로 이름난 리더들 중에는 ‘실패를 점칠 시간에 일단 도전해 보자’는 정신으로 한계를 뚫고 성공한 케이스들이 많습니다. 구체적인 사례를 볼까요?
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인맥으로 큰 도움을 받은 사람은 고작 9%에 불과했다고 합니다. 어렵게 만든 인맥을 제대로 활용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200,000 원
500,000 원
고작 구성원 중 0.8%에게만 허락되는 '임원'이라는 위치그리고 그만큼 요구되는 성과에 대한 압박과 수많은 역량들임원으로서의 고성과 창출을 이끌어내고롱런하는 임원이 되기 위해 반드시 갖춰야 하는 것은 무엇일까요? 빛나는 별 '임원'이 오래 오래 빛날 수 있도록 가장 기본 역량부터 단단하게, 8가지로 간추려드립니다 임(시) 직원이 아닌 진짜 임원다움을 갖추는 임원의 기본역량을 확인하세요!
임원리더십고성과역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