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주영
많은 회사들이 연말 평가가 끝나고 나면 공정성 논란으로 말 그대로 홍역을 앓습니다. 왜 그런지 어디서부터 손 대야 할 지 모르시겠다구요? 직원들을 평가에 참여시키는 소위 '대회식 면담' 으로 해결할 수 있습니다.
직원들이 가장 싫어하는 유형의 상사는 누구일까요? 한 취업 포털 사이트 조사에 따르면 부하 직원의 공을 가로채는 무임승차형 상사라고 하는데요. 회사 내에 이런 상사들이 많으면 직원들의 이직률이 증가하고 조직 전체의 성과가 떨어진다고 합니다. 조직을 망가뜨리는 무임승차형 상사들, 어떻게 하면 뿌리 뽑을 수 있을까요?
구글, 넷플릭스의 폭발적 성장을 만든 비결로 불리는 성과 관리 프레임워크 OKR, 도입하기만 하면 무조건 성과로 연결될까요? OKR 활용 시 꼭 확인해야 하는 오류와 그 해결방안을 알려드립니다.
구글, 메타, 아마존과 같은 실리콘밸리 기업의 리더들은 구성원들과 ‘원온원 미팅(일대일 미팅)’을 실천하고 있습니다. 국내 기업들도 원온원 미팅 방식을 벤치마킹해 도입하고 있죠. 하지만 원온원 미팅이 의미 있는 시간이 되려면, ‘T.P.O.’에 맞게 진행하는 리더의 센스가 필요합니다. 우리 함께 센스를 키워볼까요?
높은 성과 쭉쭉 올리는 하이 퍼포머형 관리자들! 그런 그들에에게도 보이지 않는 단점이 있을 수 있다는데요! 어떻게 관리할 수 있을까요?
좋은 리더는 긍정적인(positive) 말로 북돋아 주는 리더일까? 아니면 수정사항을 바로 잡아주는(corrective) 리더일까? 피드백 할 때마다 고민이 깊은 리더들에게, 직원의 성장과 조직의 성과를 위해 선택해야 할 피드백의 조건을 짚어 드립니다.
꼭 필요하지만, 발표되면 언제나 탈도 많고 말도 많은 게 인사평가죠. 일본의 한 강소기업에서는 서로가 서로를 평가하는 방식을 써서 불만을 줄인다는데요. 어떤 것인지 확인해보시죠!
일을 많이 해야 매출도 늘고 직원들 삶도 좋아진다고요? 여기 그 고정관념을 깬 회사가 있습니다.
인사평가 중에서도 특히 역량평가를 공정하게 하는 방법, 비즈킷이 알려드립니다.
세계 최고의 검색 사이트를 운영하는 구글은 인사관리에도 철저하게 데이터를 이용합니다. 어떻게 하고 있을까요?
부하직원에게 평가 결과를 단순히 통보만 하고 계시나요? 여기 관리자와 부하직원 모두가 만족하는 평가 면담 방법이 있습니다!
부하직원들에게 맡긴 일 꼼꼼하게 보고받고 피드백 주지 않으면 영 불안하신가요? 하지만 이런 세심한 관리가 무조건 좋은 성과를 내는 건 아닙니다. 그럼 대체 어떻게 관리해야 할까요?
늘 적당히 설렁설렁 일하는 ‘베짱이’ 직원들. 그런데 이들을 그냥 방치했다가는 다른 직원들의 사기까지 떨어진다는데요. 베짱이직원, 어떻게 관리해야 할까요?
2% 부족한 부하직원의 일하는 스타일을 100%로 끌어올리는 방법 어디 없을까요?
직원들이 근무 시간에 진짜 집중해 일하는 시간은 얼마나 될까요? 시간 낭비 없이 업무에 올인하는 직원들의 모습을 확인하세요!
최고의 인재는 지키기 어렵죠? 다들 데려가려고 하니까요. 그런데 이런 인재들로 회사를 빽빽하게 채워, 최고의 성과를 올린 곳이 있네요. 그 비법이 궁금하신 분들께 이 비즈킷을 추천합니다.
부하직원에게 약이 되는 쓴 소리, 어떻게 해야 할까요? 비즈킷에서 확인해보세요!
내 능력도, 평판도 나쁘지 않은데 상사와 부하직원 모두 나를 따르지 않는 상황, 어떻게 해결할 수 있을까요?
좋은 리더는 직원들을 잘 챙기며 성과도 잘 내는데요. 이런 리더가 가득한 회사를 만들고 싶으신 분들께 이 비즈킷을 추천합니다.
이제는 말 잘 하는 것뿐 아니라 잘 들어야 직원들의 마음을 얻을 수 있습니다. 경청의 기술, 지금 비즈킷에서 만나보세요!
많은 회사들이 연말 평가가 끝나고 나면 공정성 논란으로 말 그대로 홍역을 앓습니다.왜 그런지 어디서부터 손 대야 할 지 모르시겠다구요?직원들을 평가에 참여시키는 소위 '대회식 면담' 으로 해결할 수 있습니다.
igm세계경영연구원 교수입니다